• 1번째 이미지 새창
  • 2번째 이미지 새창

명재선생유고 상, 하 (明齋先生遺稿 上, 下)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윤증 (尹拯)
출판연도 1973년 8월
출판사 경인문화사
판매가격 100,000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상품 상세설명

윤증 [尹拯]

1629(인조 7)∼1714(숙종 40).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 파평(). 인(). 명재()·유봉(). 문성(). 조부는 팔송 황()이다. 부 미촌 선거()는 김집()의 문인으로 일찍이 송시열(윤휴(박세채() 등 당대의 명유들과 함께 교유하였다. 그는 부사()를 시작으로 유계()와 송준길(), 송시열의 3대 사문()에 들어가 주학을 기본으로 하는 당대의 정통유학을 수학하면서 박세당(박세채·민이승() 등과 교유하여 학문을 대성하였다. 특히 송시열의 문하에서는 많은 문인들 중 유독 뛰어나 고제()로 지목되었고, 서인계 정통으로서는 주성리학을 바탕으로 하는 의리지학()을 체득하였다.

등과()는 하지 않았지만, 학행이 사림 간에 뛰어나 유일()로 천거되어 내시교관()에 발탁을 시작으로 공조좌랑·시강원진강(대사헌·이조참판·이조판서·우의정의 임명을 받았으나, 이는 그의 학문적·정치적 위치를 반영할 뿐 일체 사양하고 실직에 나아간 일이 없다. 그러나 그의 정견은 정치적 중요문제가 생길 때마다 상소로 피력하였고, 또는 정치당국나 학인과의 왕복서를 통하여 나타났다. 그러한 그의 정치적 성행이 노소분당과 그를 이은 당쟁에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노론의 일방적인 정국 전횡을 견제하였다.

그의 사상적 배경은 16세기 이래로 변화해온 조선사회 이해에 대한 시각의 차이에서 송시열과의 대립을 초래하였다. 그것은 밖으로는 란 이후 야기된 국제관계의 변화에 따른 숭명의리(송시열)와 대청실리외교문제(윤증)의 대립이었고, 양난 이후의 사회변동과 경제적 곤란은 주학적 의리론과 명분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역사적 명제를 제기시켰다. 그는 많은 문제() 중에서도 특히 정제두()와 각별한 관계를 가졌다. 두 사람 사이의 학문 사상적 교류는 《명재유고(稿)》와 《하곡집()》의 왕복서한에서 실증되고 있다. 그것은 송시열의 주학적 조화론과 의리론만으로는 변모하는 정국을 바로잡을 정치철학으로 미흡하다는 것이었고, 왕학적() 학문과 실학적() 경륜을 담은 정치철학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그가 스승인 송시열에게 보낸 신유의서()에 의하면 스승을 의리쌍행()이라 비판하여 배사론으로 지목받았고, 송시열의 주학적 종본주의와 이에 근거한 존화대의() 및 숭명벌청()의 북벌론을 정면으로 반박, 회니시비()의 발단을 이루었다. 그의 아버지인 윤선거 비문 찬술 시비와 더불어 신유의서의 작성으로 노소당인 간의 격렬하게 전개된 회니시비는 송시열과 윤선거 부가 모두 죽은 후에도 더욱 격렬하여 노소당인들이 대립되었던 17세기를 넘기면서도 끝을 맺지 못하고 경종·영조·정조 대에 해당되는 18세기 노소당론으로 넘겨졌다. 그는 어진 스승을 배반했다는 패륜으로 지목받았지만, 그를 따르던 소론 진보세력들에 의해 그의 사상이 꾸준히 전승 발전되어 노론일당 전제체제 하에서 비판 세력으로 리를 굳혔다. 홍주의 용계서원, 노성의 노강서원 등에 향사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윤증 [尹拯] (두산백과)